인건비관리(제4편)
퇴사에 따른 노무실무
강의 개요
근로관계종료의 종류에 따른 노동법상 Risk를 익힘으로써, 임직원 퇴사시 발생할 수 있는 노무 Risk를 사전에 진단하여 노사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정
강의 목차와 내용
강의 목차 | 세부 강의 내용 | |
1강 | 강의소개 |
|
2강 | 근로관계종료의 개요(1) | 근로계약종료의 종류 |
계약기간의 만료 | ||
정년도달 | ||
당사자의 소멸 | ||
3강 | 근로관계종료의 개요(2) | 합의퇴직(해지) |
사직 | ||
합병, 분할, 사업양도시 근로관계종료 | ||
4강 | 해고에 따른 리스크관리(1) | 해고의 종류-통상해고와 징계해고 |
해고사유의 정당성 | ||
해고절차의 정당성 | ||
해고사유와 시기의 서면통지 | ||
5강 | 해고에 따른 리스크관리(2) | 징계해고의 사례별 쟁점 |
징계양정의 쟁점 | ||
6강 | 해고에 따른 리스크관리(3) | 해고의 제한 |
해고예고제도 | ||
정리해고의 정당성 요건 | ||
7강 | 감급제재 | 감급제재 |
금품청산 | 금품청산 | |
부당해고구제신청 | 부당해고구제신청 | |
8강 | 법정퇴직금 계산 | 평균임금의 개념 |
평균임금의 최저보장 등 | ||
상여금, 연차수당의 평균임금 산정방법 | ||
출산휴가, 육아휴직기간의 평균임금 산정방법 |